맨위로가기

팔라티노 언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티노 언덕은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언덕으로, 로마 신화에서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자란 곳으로 묘사되며 로마 건국과 깊은 관련이 있다. 언덕 이름은 '하늘'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궁전(palace) 등 여러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부유한 로마인들의 거주지였고, 로마 제국 시대에는 황궁이 위치하여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네로 등 여러 황제들의 궁전이 건설되었다. 현재 팔라티노 언덕에는 여러 유적들이 남아 있으며, 고고학 발굴을 통해 청동기 시대의 유물과 아우구스투스의 출생지로 추정되는 건물 등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유적 - 포룸 로마눔
    포룸 로마눔은 고대 로마 시대의 정치, 종교, 상업 중심지였던 공공 광장으로, 중요한 건축물들이 세워졌으나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쇠퇴하여 폐허가 되었다가 르네상스 시대 이후 발굴과 복원을 통해 되살아나고 있다.
  • 성림 - 웁살라 신전
    웁살라 신전은 고대 스웨덴 감라웁살라에 위치했던 북유럽 이교 신전으로, 브레멘의 아담이 토르, 오딘, 프레이의 옥좌와 희생 의식을 묘사했으며,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으나 정확한 형태와 기록의 신빙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로마의 일곱 언덕 - 아벤티노 언덕
    아벤티노 언덕은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신전과 공공 토지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부유층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 로마의 일곱 언덕 - 첼리오 언덕
    첼리오 언덕은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알바 롱가 이주민의 정착지, 부유층 거주지를 거쳐 현재는 성당, 유적, 공원, 현대 시설 등이 있는 곳이다.
팔라티노 언덕
개요
라틴어 이름Palatium; Collis Palatinus
이탈리아어 이름Palatino
위치캄피텔리
면적25.5 헥타르 (63 에이커)
면적 (추정)53 헥타르 (131 에이커)
구글 지도 검색어팔라티노 언덕
로마의 일곱 언덕
해당 여부
로마의 여덟 언덕
해당 여부아니오
역사적 중요성
신화로물루스와 레무스, 파우스툴루스
사건로물루스와 레무스의 발견
거주 인물
인물키케로,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도미티아누스
건축물
주요 건축물플라비우스 궁전
종교적 중요성
종교 시설팔라티누스 아폴로 신전, 키벨레 신전
축제루페르칼리아, 세속 경기

2. 이름

로마의 역사가 리비우스에 따르면, '팔라티노'라는 이름은 그리스 정착자들이 세운 도시인 '팔란티움'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혹은 당시 고대어로 팔라드''(falad)''가 하늘, 창공을 의미하는 단어였는데, 이 단어에서 본따 만든 것일 수도 있다.[4]

리비우스(기원전 59년 ~ 서기 17년)에 따르면, 팔라티노 언덕은 아르카디아(고대 지역)에서 온 정착민들이 그들의 지도자 팔라스의 이름을 따서 지은 팔란티움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더 유력한 설은 "구개"를 뜻하는 명사 ''palātum''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다. 엔니우스는 이 단어를 "하늘"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했으며, 에트루리아어로 하늘을 뜻하는 단어 ''falad''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5]

이 언덕의 이름은 궁전(palace)과 다른 언어에서 파생된 단어들의 어원이 되었다. (παλάτιον|팔라티온grc, palazzo|팔라초it, palais|팔레프랑스어, 스페인어: ''palacio'', 포르투갈어: ''palácio'', Pfalz|팔츠de 및 Palast|팔라스트de, palác|팔라츠cs, palača|팔라차hr 등).[6]

팔라티노 언덕은 또한 라틴어 형용사 ''palatinus''를 통해 16세기 영어 형용사 "팔라틴"(palatine)의 어원이 되었다. 이 단어는 원래 카이사르의 궁전에 속하는 무언가를 의미하거나 왕의 권위를 부여받은 사람을 의미했다. 이후 용법이 독일 팔츠를 지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7] 독일 팔츠 백작(''Pfalzgraf'')의 직위는 메로빙거 왕조와 카롤링거 왕조 시대의 초기 직위였던 ''comes palatinus''에서 유래되었다.[8]

또 다른 현대 영어 단어인 "팔라딘"은 프랑스 문학의 후기 번역에서 샤를마뉴 대제 아래의 뛰어난 기사(특히 샤를마뉴 12기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9]

3. 신화에서의 등장

로마 신화에 따르면, 팔라티노 언덕에 있던 루페르칼이라는 동굴에서 늑대 루파가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발견하여 그곳에서 키웠다고 한다.[10] 쌍둥이는 군신 마르스와 레아 실비아(알바 롱가의 왕 누미토르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왕위를 빼앗은 아물리우스는 쌍둥이가 복수할 것을 두려워하여 테베레 강에 버렸으나, 암늑대에게 발견되어 팔라티노 언덕의 동굴에서 길러졌다. 이후 돼지치기 파우스툴루스와 그의 아내에게 양육되었다. 성장한 쌍둥이는 할아버지의 군대에 의해 산적으로 오인받아 붙잡혔으나, 심문 과정에서 손자임이 밝혀졌다. 얼마 후 형제는 삼촌을 죽이고 할아버지를 복위시켰다. 형제는 자신들이 버려진 테베레 강가에 나라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는데, 로물루스는 팔라티노 언덕을, 레무스는 아벤티노 언덕을 주장했다. 조류점으로 건설자를 결정하기로 했고, 로물루스가 승리하여 새로운 마을의 성벽을 쌓기 시작했다. 레무스가 이에 반발하여 싸움이 일어났고, 결국 레무스가 로물루스에게 살해당했다. 로물루스는 기원전 753년 4월 12일 로마를 건국하고 팔라티노 언덕에 사람들을 살게 했다.[10]

헤라클레스와 카쿠스의 전투도 팔라티노 언덕에서 벌어졌다고 전해진다. 헤라클레스가 게리온의 소떼를 이끌고 그리스로 돌아가던 중 이 땅을 방문했는데, 소를 도둑맞자 카쿠스를 물리쳤다. 헤라클레스가 몽둥이로 카쿠스를 너무 세게 내리치는 바람에 언덕의 남동쪽 귀퉁이에 틈이 생겼고, 훗날 이 자리에 카쿠스의 이름을 딴 계단이 건설되었다.[10]

4. 역사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군신 마르스와 레아 실비아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테베레 강에 버려졌으나 암늑대에게 발견되어 팔라티노 언덕의 동굴에서 자랐다. 이 동굴은 루페르칼(Lupercalla)이라고 불리며, 늑대를 뜻하는 'Lupa'가 어원이다. 성장한 형제는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로 결정했고, 로물루스는 팔라티노 언덕을, 레무스는 아벤티노 언덕을 주장했다. 조류점을 통해 로물루스가 이겨 팔라티노 언덕에 도시를 건설하고, 기원전 753년 4월 12일 로마를 건국했다.[13]

팔라티노 언덕은 초기 역사, 로마 공화정 시대,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중요한 장소였다.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10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부유한 로마인들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황제들의 궁전이 건설되면서 제국의 중심지로 기능했다.

기원후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네로는 도무스 아우레아를 건설하려 했으나, 반란으로 인해 미완성으로 남았다. 이후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그 위에 자신의 궁전을 건설했다.[14]

4. 1. 초기 역사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로물루스와 레무스 쌍둥이 형제가 테베레 강에 버려졌으나 암늑대에게 발견되어 팔라티노 언덕의 동굴에서 자랐다. 이 동굴은 루페르칼(Lupercalla)이라고 불리며, 늑대를 뜻하는 'Lupa'가 어원이다. 성장한 형제는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로 했고, 로물루스는 팔라티노 언덕을, 레무스는 아벤티노 언덕을 주장했다. 조류점을 통해 로물루스가 이겨 팔라티노 언덕에 도시를 건설하고, 기원전 753년 4월 12일 로마를 건국했다.[13]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1000년경부터 팔라티노 언덕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사비니족과 알바 롱가 사람들이 로마로 이주했을 때, 원래 로마인들은 팔라티노 언덕에 살았다.[13] 팔라티노 언덕은 루페르칼리아 축제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부유한 로마인들이 팔라티노 언덕에 거주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우구스투스가 이곳에 궁전을 지었고, 이후 황제들의 전용 구역이 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아폴로 신전을 짓기도 했다. 티베리우스, 도미티아누스 등 황제들의 궁전 유적이 남아있다.

4. 2. 로마 공화정 시대

발굴 조사에 따르면 기원전 1000년경 팔라티노 언덕에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고대 로마의 역사가인 리비우스(티투스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 건국 전) 사비니족과 알바 사람들이 로마로 이주해 왔을 때, 원래 이곳에 살던 로마인들은 팔라티노 언덕에 계속 살았다고 한다. 로마 공화정 시대(기원전 6세기~기원전 1세기)에는 귀족 등 부유한 사람들이 팔라티노 언덕에 거처를 마련하였다.

4. 3. 로마 제국 시대

로마 제국은 팔라티노 언덕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10세기부터 이곳에 사람이 살았음이 밝혀졌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많은 부유한 로마인들이 이곳에 살기 시작하였다.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이곳에 거대한 황궁을 지었고, 그때부터 이곳은 제국의 황궁으로 기능하게 된다. 후임 황제들이 이곳을 계속 개축, 확장하였고, 아직까지도 그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아우구스투스는 이곳에 태양신 아폴로에게 바치는 신전을 짓기도 했다.[14]

기원후 64년, 로마 대화재네로의 궁전인 도무스 트란시토리아를 불태웠으나, 네로는 더 큰 도무스 아우레아를 지어 자신의 황궁으로 사용하려 하였다. 하나 반란이 일어났고, 황금 궁전은 미완으로 남게 되었고, 다른 건물이 대신 들어서게 되었다.[14]

팔라티노 언덕의 궁전


콜로세움에서 바라본 팔라티노 언덕


거대한 옹벽은 제국의 건물 단지를 위해 팔라티노 언덕의 면적을 넓혔다.


티베리우스가 처음 지었기 때문에 도무스 티베리아나로 알려진 이곳에서 그는 캄파니아와 카프리의 궁전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후 이곳은 네로의 도무스 트란시토리아에 통합되었다.[16] 그 잔해 일부는 현재 파르네세 정원에 있다.

4. 4. 로마 대화재 이후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네로의 궁전인 도무스 트란시토리아를 파괴했다.[14] 하지만 네로는 서기 69년에 더 큰 도무스 아우레아를 지어 자신의 황궁으로 사용하려 했다.[14] 그러나 반란이 일어났고, 황금 궁전은 미완으로 남은 채 다른 건물이 대신 들어서게 되었다. 그 위에 결국 도미티아누스의 궁전이 건설되었다.[14]

5. 유적

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황궁은 약탈되었고, 그 자재들은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따라서 현재 남아있는 것은 유구들뿐이다.

아우구스투스 황제 치세에 팔라티노 언덕의 한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의 토기 조각과 도구가 발견되었다. 그는 이 장소를 "로마의 기원 도시"라고 선언했다. 현대 고고학은 로마 건국 이전 시대의 청동기 시대 정착의 증거를 이 지역에서 확인했다.

집중적인 고고학 발굴은 18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 후반에 절정에 달했고, 20세기에도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발견이 이어졌다.

2006년, 고고학자들은 고대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출생지로 추정되는 팔라티노 하우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7] 2층 건물인 이 집은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벽에는 프레스코화가 그려져 있고 바닥은 모자이크로 되어 있으며, 콜로세움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을 내려다보는 팔라티노 언덕 경사면에 위치해 있다. 1층에는 세 개의 상점이 비아 사크라로 열려 있었다. 이 ''도무스''의 위치는 로마의 ''Curiae Veteres'', 즉 로마 ''쿠리아''의 가장 오래된 신전과 가까울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18]

2007년에는 전설적인 루페르칼 동굴이 팔라티노 언덕의 ''Domus Livia'' (리비아의 집) 유적 아래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썩어가는 궁전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모자이크와 조개 껍질로 장식된 아치형 천장이 있는 깊이 16미터의 동굴을 발견했다.[19] 루페르칼은 아마도 후대 로마인들에 의해 성역으로 개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 동굴이 네로 시대의 ''님파에움'' 또는 지하 ''트리클리니움''이라고 주장한다.[20][21][22]

팔라티노 언덕의 ''Domus Livia'' 아래 발굴된 동굴 사진, 아마도 루페르칼일 것이다.

5. 1. 주요 유적

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황궁은 약탈되었고, 그 자재들은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따라서 현재 남아있는 것은 유구들뿐이다. 당시 팔라티노 언덕에 있었던 건물들은 다음과 같다.

  • 아우구스투스 황제와 그의 아내 리비아의 궁전
  • 도미티아누스 궁전
  • 세베루스 황제의 궁전
  • 키벨레 신전
  • 아폴로 신전
  • 티베리우스 황제의 궁전


현대 건물이 겹쳐진 팔라티노 언덕의 평면도


팔라티노 언덕의 대부분은 도미티아누스 궁전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 궁전은 네로 시대의 초기 건물 위에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 기간 동안 대대적으로 재건되었다. 이후 황제들, 특히 세베루스 왕조의 황제들은 도무스 세베리아나를 포함하여 건물에 상당한 증축을 했다.[15]

아우구스투스의 아내 리비아의 저택은 점토 파이프에 적힌 이름과 아우구스투스 저택과의 근접성 등 정황적 요인으로 인해 그녀의 소유로 추정된다. 이 건물은 언덕 서쪽 끝, 마그나 마테르 신전 근처, 신전보다 낮은 테라스에 위치해 있으며 프레스코화로 유명하다.

티베리우스가 처음 지었기 때문에 도무스 티베리아나로 알려진 이곳에서 그는 캄파니아와 카프리의 궁전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후 이곳은 네로의 도무스 트란시토리아에 통합되었다.[16] 그 잔해 일부는 현재 파르네세 정원에 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부인 리비아 드루실라의 궁정으로 여겨지는 Casa di Livia|도무스 리비아에it는 현재 복원 작업 중이다. 옆에는 키벨레를 모시는 Temple of Cybele (Palatine)|키벨레 신전영어이 발굴 작업 중이며, 일반 공개는 되지 않고 있다. 도무스 리비아에에서 포룸 로마눔으로 향하는 경사면에는 도무스 티베리아나가 세워져 있다.

팔라티노 언덕 중앙 부근에는 도무스 플라비아 건물군이 있는데,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와 같은 플라비우스 왕조 (69년-96년)의 황제들이 정비했다. 그 이후의 황제들도 도무스 플라비아를 키르쿠스 막시무스 방향으로 증축해 갔다.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바라보는 팔라티노의 건물군은 주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재위 193년-211년)가 증축한 것으로, 도무스 셉티미 세베리라고 불린다. 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증축한 궁전 옆에는 스타디온 (도미티아누스의 히포드롬)이라고 불리는 전차 경기장 키르쿠스와 비슷한 시설이 있다. 전차 경기에는 너무 좁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의 육상 경기회를 개최하는 경기장이라고 추측하는 설도 있지만, 실제 이용 방법은 불명이다. 또한, 경기장 형태의 정원이었다는 설도 있다.

현재 팔라티노의 유적군은 포로 로마노,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콜로세움)과 일체화된 광대한 야외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동일한 입장권으로 견학이 가능하다.

6. 현대의 팔라티노 언덕

아우구스투스 황제 통치 시기, 팔라티노 언덕의 한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의 토기 조각과 도구가 발견되는 등 일종의 고고학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아우구스투스는 이 장소를 "로마의 기원 도시"라고 선언했다. 현대 고고학은 로마 건국 이전 시대의 청동기 시대 정착의 증거를 이 지역에서 확인했다.

18세기에 집중적인 고고학 발굴이 시작되어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로 로마가 선포된 후 19세기 후반에 절정에 달했다. 20세기에도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발견이 이어졌다.

2006년, 고고학자들은 고대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출생지로 추정되는 팔라티노 하우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7] 언덕 아래 복도 부분과 다른 조각들이 발견되었고 "매우 오래된 귀족의 집"으로 묘사되었다. 2층 건물인 이 집은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벽에는 프레스코화가 그려져 있고 바닥은 모자이크로 되어 있으며, 콜로세움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을 내려다보는 팔라티노 언덕 경사면에 위치해 있다. 팔라티노 언덕의 공화정 시대의 집들은 로마 대화재 (서기 64년) 이후 더 나중에 궁전에 의해 덮였지만, 이 집은 그렇지 않았고 아마도 중요한 이유로 보존되었을 것이다. 1층에는 세 개의 상점이 비아 사크라로 열려 있었다. 이 ''도무스''의 위치는 로마의 ''Curiae Veteres'', 즉 로마 ''쿠리아''의 가장 오래된 신전과 가까울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18]

2007년, 전설적인 루페르칼 동굴이 팔라티노 언덕의 ''Domus Livia'' (리비아의 집) 유적 아래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썩어가는 궁전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모자이크와 조개 껍질로 장식된 아치형 천장이 있는 깊이 16m의 동굴을 발견했다.[19] 루페르칼은 아마도 후대 로마인들에 의해 성역으로 개조되었을 것이다. 많은 다른 사람들은 지형적, 양식적 근거를 들어 루페르칼과의 동일시를 부인하며, 이 동굴이 실제로 네로 시대의 ''님파에움'' 또는 지하 ''트리클리니움''이라고 믿고 있다.[20][21][22]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부인 리비아 드루실라의 궁정으로 여겨지는 도무스 리비아가 현재 복원 작업 중이다. 옆에는 키벨레를 모시는 키벨레 신전이 발굴 작업 중이며, 일반 공개는 되지 않고 있다. 도무스 리비아에서 포룸 로마눔으로 향하는 경사면에는 도무스 티베리아나가 세워져 있다.

팔라티노 언덕 중앙 부근을 차지하는 것은 도무스 플라비아 건물군으로,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와 같은 플라비우스 왕조 (69년-96년)의 황제들이 정비했다. 또한, 그 이후의 황제들도 도무스 플라비아를 키르쿠스 막시무스 방향으로 증축해 갔다.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바라보는 팔라티노의 건물군은 주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재위 193년-211년)가 증축한 것으로, 도무스 세프티미 세베리라고 불린다. 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증축한 궁전 옆에는 스타디온 (도미티아누스의 히포드롬)이라고 불리는 전차 경기장 키르쿠스와 비슷한 시설이 있다. 전차 경기에는 너무 좁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의 육상 경기회를 개최하는 경기장이라고 추측하는 설도 있지만, 실제 이용 방법은 불명이다. 또한, 경기장 형태의 정원이었다는 설도 있다.

현재, 팔라티노의 유적군은 포로 로마노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콜로세움)과 일체화된 광대한 야외 박물관으로 일반 공개되어 있으며, 동일한 입장권으로 견학이 가능하다.

참조

[1] 웹사이트 Palatium https://www.perseus.[...] Lewis and Short
[2] 서적 A General History of Rome: from the Foundation of the City to the Fall of Augustulus, B.C. 753— A.D. 476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880
[3] 서적 The Atlas of Ancient Rome, Biography and Portraits of the C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4] 웹사이트 Livy 1.5.1 https://www.perseus.[...]
[5] 문서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latine
[6] 사전 Palace Oxford English Dictionary
[7] 사전 Palatine Oxford English Dictionary
[8] 서적 Palatinates https://books.google[...] Garland
[9] 사전 Paladin Oxford English Dictionary
[10] 웹사이트 CACUS: Giant of the Land of Latium
[11] 웹사이트 Palatine Hill: The Cradle of the City of Rome – World by Isa https://www.worldbyi[...] 2020-04-08
[12] 웹사이트 World Archeology 03MAR2011 https://www.world-ar[...]
[13] 서적 Ab urbe condita
[14] 서적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https://books.google[...] 1998
[15] 웹사이트 The House of Livia - Rome, Italy - History and Visitor Information https://www.historvi[...] 2018-05-05
[16]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17] 서적 Life of Augustus
[18] 문서 Linguae Latinae
[19] 웹사이트 Sacred Cave of Rome's Founders Found, Scientists Say https://web.archive.[...] 2018-05-05
[20] 뉴스 Expert doubts Lupercale 'find'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7-11-24
[21] 뉴스 È uno splendido ninfeo, ma il Lupercale non era lì http://roma.repubbli[...] la Repubblica 2007-11-23
[22] 뉴스 Is Italy's Spectacular Find Authentic? http://www.spiegel.d[...] Spiegel Online 2007-11-29
[23] 웹사이트 Palatinus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29
[24] 웹사이트 Domus Augustiana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29
[25] 간행물 ローマ七丘 平凡社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